리전의 특정
리전은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의 물리적인 위치를 의미한다.
각 리전은 여러 개의 데이터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AWS 서비스를 실행하고 관리하는 독립된 영역이다.
리전은 지리적으로 다양한 지역에 위치하며, "아시아 태평양 (서울)", "유럽 (아일랜드)" 과 같은 이름으로 구분된다.
각 리전은 고유한 식별자 코드를 가지고 있으며, "ap-northeast-2"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북동부 리전을 나타낸다.
이러한 식별 코드는 API 호출 시 에도 사용하게 된다.
리전은 고객이 원하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AWS 리소스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게 한다.
각 리전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여러 가용 영역이 있어 장애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리전으로 작업을 이전하거나 복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리전은 서비스 제공의 기반이 되며 각 리전은 지역별로 서비스 제공 범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리전은 모든 AWS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다른 리전은 일부 서비스만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하려는 리전에 서비스가 지원되는지 확인하고 적절한 리전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리전의 서비스 다양성
각 리전 마다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하고 다를 수 있다. AWS는 지역마다 고객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확장하고 제공한다. 이는 지역의 법규 요건, 인프라 용량, 기술적 제약 사항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리전을 선택하기 전 리전별로 제공되는 서비스 리스트를 조사하고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AWS 의 웹사이트에서 리전별 서비스 목록을 살펴볼 수 있으며, AWS CLI(Command Line Interface)를 사용하여도 리전별로 지원되는 서비스를 조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리전에서 사용 가능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리전별 가격이 서울 리전이 버지니아보다 약간 비싸다. 이러한 가격 차이의 기준은 명확히 알 수 없으며,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인프라 비용, 운영 비용, 지역적 요소 등 여러 가지 요소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가격 비교를 위해서는 AWS의 가격표를 확인하고, 필요한 서비스 및 리전별 가격을 비교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리전별 지원 서비스 목록 : https://aws.amazon.com/ko/about-aws/global-infrastructure/regional-product-services/
CLI 설치 방법 : https://docs.aws.amazon.com/ko_kr/cli/latest/userguide/getting-started-install.html
가용 영역
가용 영역은 AWS의 리전 내에서 물리적으로 분리된 데이터 센터로 구성된다. 이는 안정적이고 가용성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기 위한 핵심 구성 요소이다.
각 리전은 최소 2개 이상의 가용 영역(Availability Zone, AZ)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용 영역은 독립적인 전원, 네트워크, 냉각 시스템 등을 가지고 있어서 하나의 가용 영역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가용 영역은 계속해서 작동할 수 있다.
서울 리전은 현재 4개의 가용 영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안정성과 가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각 가용 영역은 동일한 지리적 영역에서는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가용 영역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운영할 수 있다.
가용 영역을 고려한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신뢰성과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떄문이다. 가용 영역 간에 데이터를 복제하거나 로드 밸런싱을 설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가용 영역 간에 부하를 분산시키고 장애에 대비할 수 있다. 가용 영역은 AWS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강화하는 핵심 개념이므로, 개발자들은 가용 영역을 고려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운영해야 한다.
AWS 엣지 로케이션
AWS 엣지 로케이션은 AWS의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로, 클라우드 프론트(CDN)나 Route 53(DNS 서비스) 등을 위한 캐시 서버들의 모음이다. 엣지 로케이션은 전 세계에 400개 이상의 지점에 분포되어 있다.
엣지 로케이션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접근성과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지리적으로 분산된 엣지 로케이션은 사용자들에게 가까운 위치에서 콘텐츠를 서빙하고,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여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엣지 로케이션을 활용하여 Lambda@Edge를 실행할 수도 있다. Lambda@Edge는 서버리스 컴퓨팅 기능으로, 엣지 로케이션에서 코드를 실행하여 요청에 실시간으로 응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성능 개선과 지연 시간 단축을 할 수 있으며, 동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AWS 엣지 로케이션은 글로벌 네트워크 인프라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자들에게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다. 엣지 로케이션을 활용하면 콘텐츠의 전송 속도와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Lambda@Edge를 통해 동적인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Computer Science >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S3, EBS, EFS) (0) | 2023.05.31 |
---|---|
AWS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EC2, Lambda) (0) | 2023.05.31 |
AWS 클라우드: 다양한 서비스의 종류 (0) | 2023.05.30 |
AWS 클라우드: AWS 를 배워야 하는 이유 (0) | 2023.05.30 |
클라우드 서비스란 (2)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