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와 같이 ~/.ssh/config 경로에 ssh config 파일을 작성하여 서버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Host server1 Hostname ~~~.~~~.~~~.~~~ User ubuntu Port 22 IdentityFile ~/.ssh/id_rsa_1Password Host server1 Hostname ~~~.~~~.~~~.~~~ User ubuntu Port 22 IdentityFile ~/.ssh/id_rsa_1Password Host * HostkeyAlgorithms +ssh-rsa PubkeyAcceptedAlgorithms +ssh-rsa Host * IdentityAgent "~/Library/Group\ Containers/2BUA8C4S2C.com.1password/t/a..
Computer Science/Server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 호스트네임은 localhost.localdomain 가 된다. 리눅스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hostnamectl 을 통해 서버마다 호스트네임을 지정할 수 있다. 호스트네임 지정을 통해 docker-swarm 설정을 진행할 때 호스트 구분하기가 쉬워진다. 호스트네임 확인 hostnamectl 은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로 옵션없이 사용하거나 status 옵션을 주면 현재 정보를 출력한다. 터미널에 hostnamectl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ubuntu@server-no1:~$ hostnamectl Static hostname: server-no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vm Machine ID: d78..